동양건축사16. 지붕으로 읽는 한국 건축의 사회와 지역 – 기와집과 초가집의 구조와 의미
지붕은 단순한 덮개가 아니다 건축의 지붕은 단순히 비와 햇빛을 막는 구조적 요소가 아닙니다. 한국전통건축에서 지붕은 사회적 신분, 지역적 환경, 그리고 생활방식이 응축된 문화의 상징이었습니다. 기와집과 초가집은 모두 같은 시대를 살았지만, 서로 다른 재료와 형태, 그리고 철학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와와 초가의 구조적 차이뿐만 아니라, 그것이 보여주는 계층적 상징과 지역적 특성, 그리고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기와집의 구조와 상징: 권위와 영속성의 건축 기와집은 주로 양반, 관료, 혹은 부유한 상인 계층이 거주하던 상류 주택으로, 지붕의 재료인 ‘기와(瓦)’는 구운 흙으로 만든 도자기 형태의 건축재료입니다. 기와는 무겁고 내구성이 강하여 오랜 세월 풍우에 견디며, 화재에도 비교적 강했..
2025. 10. 16.
세계건축사14. 낭만주의 건축: 감성과 역사, 자연이 어우러진 시대의 건축
이성과 질서의 시대를 넘어, 감성을 향한 회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 유럽 사회는 산업혁명과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급격히 변화했습니다. 기계와 합리성, 그리고 이성이 사회를 지배하던 시대였지만, 그 반작용으로 사람들은 다시 자연과 감정, 인간의 내면세계로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흐름은 문학, 미술, 음악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낭만주의(Romanticism)’라는 새로운 양식으로 나타났습니다. 낭만주의 건축은 단순히 양식의 변화가 아니라, 인간 중심적 감성과 역사적 상상력을 되찾으려는 문화적 운동이었습니다. 고전주의가 규범과 비례, 이성을 중시했다면, 낭만주의는 자유로움과 주관성, 상징성을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낭만주의 건축은 특정한 형태보다 정신적 태도와 시대적 감수성으로 정의됩니다. ..
2025.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