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2

동양건축사3. 온돌: 한국 전통 건축이 만든 생활 문화

한국 주거문화의 핵심, 온돌 한국의 주거문화를 이해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바로 온돌입니다. 온돌은 바닥을 데워 방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한국 고유의 난방 방식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창적인 기술입니다. 중국이나 일본에도 유사한 바닥 난방의 흔적이 있긴 하지만, 한국의 온돌만큼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일상에 깊숙이 뿌리내린 사례는 드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온돌은 단순히 난방 기술을 넘어 한국인의 생활 방식, 건강, 건축양식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날에는 현대식 보일러와 결합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 건축의 상징적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온돌의 기원과 건축사적 발전 온돌의 기원은 정확히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학계의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건축 2025.09.02

동양건축사 2. 창덕궁을 통해 본 한국 전통 건축의 입지 원리 : 배산임수

창덕궁과 배산임수: 한국 전통 건축의 입지 원리 한국의 전통 건축은 자연과의 조화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단순히 집을 짓고 공간을 배치하는 수준을 넘어, 산과 물, 바람과 햇볕 등 자연환경을 세심히 고려하여 입지를 선택하였습니다. 그 중심에는 ‘배산임수(背山臨水)’라는 전통적 입지 원리가 있습니다. 배산임수는 ‘뒤로는 산을 두고 앞으로는 물을 마주한다’는 뜻으로, 지리적 안정성과 생활의 편리함, 나아가 정신적 안정을 추구하는 한국적 공간 철학을 잘 보여줍니다. 이러한 전통 원리는 개인 주거에서부터 궁궐, 사찰, 서원 등 국가적 상징 건축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었습니다. 특히 조선 왕조의 궁궐 가운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은 배산임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창덕궁은 단순..

건축 2025.09.02